동양인과 서양인의 시각차이를 보여주는 문제들

대부분의 동양인과 대부분의 서양인의 시각차이를 보여주는 문제들.

여러분은 이 둘중에 무엇을 묶으시겠습니까?

Advertisements

동양인들의 시각.

그리고 서양인들의 시각.

 동양인들은 대부분 원숭이+바나나를

서양인들은 대부분 원숭이+판다를 묶었다.

이는 동양 언어는 동사를 강조하기에 원숭이가 바나나를 먹는다라고 생각한 반면 서양 언어에서는 둘다 동물이다라고 명사를 강조했다.

그럼 이번에는..

이 가운데 소년이 행복해 보이시나요?

그렇다면 아래 사진의 소년은 행복해 보이시나요?

먼저 서양인의 시각.

행복해 보인다는 서양인의 시각.

그리고

그리고 행복해보이지 않는다는 동양인의 시각.

이는 서양의 개인주의적 관점과 동양의 집단주의적 관점 차이라고 합니다.

서양인들은 개인의 행복을 중시한다면, 동양인들은 주위사람들 관계를 중요시 하기 때문이죠.

다음 물체를 닥스라고 부른다면..

아래 물체 중 닥스는 어떤 것일까요?

먼저 동양인의 시각.

같은 재질이라고 생각되는 물체를 고른 동양인의 시각.

반면 서양인의 시각은

재질은 상관없이, 모양을보고 물체를 고른 서양인의 시각.

이 같은 실험을 종합해보면 서양은 각각의 개체를 가리키는 명사를 중심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동양은 전체적 맥락 속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을 가리키는 동사를 중심으로 세상을 바라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 서양화와 동양화의 차이에서도 이를 알 수 있는데.

따라서 서양 아이들이 그린 그림을 본다면.

대부분 이런 그림들이고.

동양 아이들이 그린 그림을 보면

이런 그림들이다.

서양 아이들은 자신이 서거나 앉은 곳, 바라보는 곳을 그대로 표현했고, 동양 아이들은 하늘에서 땅을 바라보듯 표현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위 그림처럼 풍선이 땅에서 위로 갑자기 솟아 올랐다면, 여러분들은 왜 그랬다고 생각하시겠습니까? (헬륨 풍선이 아님)

동양인들은 대부분 바람이 불어서 풍선이 바람을 타고 올라갔다고 생각을 했다.

하지만 서양인들은 대부분..

풍선 속의 바람이 빠져서 올라갔다고 생각했다.

여기서도 알 수 있는 것이

동양인들은 대부분 항상 무언가는 주변의 작용으로 무언가가 탄생한다고 생각하고 있고

서양인들은 대부분 무언가의 안에 있는 것들의 작용으로 자신 스스로 탄생한다고 생각한다.

 

[산 속의 버려진 천막에 가본 남자의 후기]

 

산 속의 버려진 천막에 가본 남자의 후기

이 곳을 다녀온 남자는

“사람이 사는 거 같지 않더라. 그냥 가기 아쉬워서 전리품으로 머리 떼왔는데 후회된다. 영화 같은 거 보면 저주같은 거 걸리던데 무섭다”고 말함.

그리고 달린 댓글..

니가간곳은 어디냐면 개인이 모시는 신당이다 

신당이 뭐냐면 쉽게설명해서 귀신을 모시는 곳이라 생각하면된다 

신당= 귀신을 모시는 곳 
무당= 귀신을 모시는 사람 
법당= 부처를 모시는 곳 
S님= 부처를 모시는 사람 
  
일반적으로 법당은 절에 있고 모시는 대상이 스님들이나 불교신자들이다 

반면 신당은 귀신에게 들림받은 무당들이 모시는 곳이다. 

니가만진건 중앙의신 주장신의 기준 좌측 소당의신을 건드렸는데 

소당은 남자의 부리를 뜻하고 용왕주력의 선녀와 용궁동자가 깃드는 당인데 형태로보아 불사대신 불사할머니로 보여진다  

부리불사 부리가 세다는말은 옛부터 조상대대로 절이나 무속의신에게 공드리던 집안이라는 소리이며 불사할머니는 조상신의 성격으로 점사를 병행하여 신령이 깃들기도한다 

고로 이 신당을 모시던 사람은 무속인일 확률이 높다 

이 신령이 깃든 불사대신을 건드렸다는건 전에 신을 모시던 사람의 액운과 액살이 그대로 전해진다는것이고 그사람이 누군진모르겠지만 저렇게 신당을 방치해논걸볼때 좋게 끝난사람은 아닌거같다  

믿거나 말거나는 본인 자유지만 쉽게생각해선 안될문제같다

그런데 이 글을 본 남자는..

다시 가서 다 때려부수고 술 뿌리고 소금 뿌리고 십자가 만들고 나왔다고 한다..

답글 남기기